티스토리 뷰

목차



     
     
    저는 예체능 전공으로 비전공자입니다.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워드1급, ITQ Plus(파워포인트, 워드 A)자격증을 가지고 있어 기본적인 OA프로그램 정도 다룰 수 있습니다. 3트만에 합격해서 합격후기라 하기엔 민망하지만, 그래서 더욱 더 공부법에 대해 잘 쓸 수 있을 것 같아 공유합니다. 응시료가 5만원대이다보니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실기가 없이 필기시험만으로 취득 가능한 IT자격증이며, 최근 채용시 우대하는 기업과 공기업이 많기 때문에 취업을 앞두고 자격증을 준비하신다면 ADsP 취득을 추천합니다. 거의 모든 시험의 공통점인 '갈수록 난이도가 높아짐'도 사실인 것 같고 범위도 점차 늘어나는 것 같아서 빠른 취득은 더더욱 추천합니다.
     
     

    독학 공부방법

     

    1트

    모든 수험생의 공통추천교재-특히나 초기엔 거의 유일한 교재로 보여졌음-민트책을 구매했습니다. 그러나 너무 두꺼워서 보기도 전에 질려서 보지 않았고, 구글링해서 요약집 여러가지 모아서 슬슬 봤습니다. 
    (결과 : 37회 2과목 데이터 분석 기획 과락, 평균 52점 불합격)
    37회의 경우 범위 외에서 4문제 정도 나왔다고 합니다.
     

    2트

    50점대라는 점수는 긴장이 안되더라구요. 조금만 더 하면 합격할 것 같고... 저는 늘 60점대로 합격하는 게 가장 효율이 좋다고 생각하는 나태한 수험자여서 58점 이런 식으로 떨어지거나 61점 이런 점수로 붙곤 합니다. 그러다보면 저처럼 3트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너무 모험이니까 70-80점대를 목표로 준비하시면 안정권입니다. 아직 위기의식이 없어서 그 뒤로 미어캣-유튜브에 있는 무료강의를 좀 더 집중해서 봤고, 요약집도 더 집중해서 봤습니다만, 40회 역대급 난이도(이런 변수가 생기니까 60점대를 목표로 하지 마세요!)였다고 합니다. 3과목이 특히 어려웠습니다. 결과는 1트보다 훨씬 낮은 평균점수 48점 불합격. 여기서부터 충격받고 열심히 하기 시작.
     

    3트

    사둔 민트책 버릴 생각으로 형광펜 칠하고 문제도 다 풀어보면서 교재를 집중해서 팠습니다. 이때 민 기술사 - 아답터 유튜브를 보기 시작했고, 요약집도 구매해서 봤습니다. 역시 다른 후기들에서처럼 교재 (미어캣이든, 민트책이든) 한 권은 제대로 파는 것을 추천합니다. 유튜브 강의 소개는 아래에서 추가로 하겠습니다.
     

    Tip.

    수험정보, 난이도와 후기, 그리고 관련 질문을 하려면 데이터 전문가 포럼(네이버카페) https://cafe.naver.com/sqlpd 추천합니다. ADsP와 SQLD, 빅데이터분석기사 등 데이터 관련 자격증 취득을 원하신다면 거의 필수로 가입하는 커뮤니티입니다.
     
    교재 한 권은 정독+문제풀이 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괜히 다들 하라는 게 아님. 다만 민트책만 봤기 때문에 다른 교재는 추천불가하며 구글링해서 비교해보고 선택하세요.
     
     

     

    교재 

    ADsP  교재로 가장 유명했던 민트책. 요즘은 미어캣 교재도 좋다는 평이 많은 것 같습니다. 장단점이 있을테니 비교해보고 구매하세요. 저는 민트책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유튜브강의 추천 

     

    1. 미어캣

    교재도 요즘 핫한 비빅터 채널. 저도 처음에 이 강의로 시작했는데 덕분에 개념정리에 도움 되었습니다. 다만 강의가 요약인데도 길어지는 면이 있어요. 아무래도 설명을 잘해주시다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 같습니다.

    미어캣으로 유명하신 비빅터 유튜브 바로가기
     

    2. 아답터

    요점 위주로 깔끔하게 설명하셔서 개념이 어느 정도 생긴 후에는 이해가 쏙쏙 되고, 특히 이쪽 분야 전문가이신지 코딩이나 통계같은 비전공자에게 어려운 부분 개념설명을 너무 잘해주십니다. 요약집도 구매했는데 최종 개념정리 하기 좋았습니다. 그러나 검색해보면 무료로 공개된 요약자료도 많으니 검색에 자신있고 비용을 줄이겠다 하시는 분들은 패스하셔도 됩니다. 구글링해보면 ADsP 요약정리 pdf도 종종 오픈해두신 분들이 있으니까요.

    답터 민 기술사 유투브 바로가기
     
    두 분의 채널 모두 큰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비교해보시고 본인한테 맞는 강의를 선택해서 들으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합격후기 

    40회가 불 난이도였다면 41회는 말장난과 헷갈리는 문제들이 있었습니다. 답을 적어오지 못하는 시험 특성상 데이터 전문가 포럼(네이버카페) https://cafe.naver.com/sqlpd  카페에서 수험자들끼리 복기를 하는데요. 생각보다 틀린 문제가 너무 많아서 당연히 불합격이라 생각했고 더 공부해서 42회엔 붙어야지 싶었는데 사전점수공개 및 재검토 접수 결과 : 합격이었습니다. 카페에서는 논란이 있던 문제 2~3개를 복수정답처리 한 것 같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의 신청을 통해 한두문제로 불합격 하신 분들도 합격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었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3트를 해본 결과, 시험마다 체감 난이도가 다르며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준비하실 분들은 되도록 단시간 집중하셔서 빠른 합격을 하시길 추천합니다. 하루 평균 4시간 정도 집중해서 투자하신다면 2~3주로 충분합니다. (교재 + 무료유튜브 강의 + 요약집)